마이크로디그리
Dongguk University
최근 ICT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 ICT 기반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ICT 융합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ICT 소프트웨어는 정보통신 기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분야로써, 제조업, 건설업, 금융업, 유통업, 농축산업, 의료산업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와 융합이 되어 그 활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ICT 혹은 소프트웨어 비전공자에게는 ICT 소프트웨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관련학과 복수전공을 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ICT 소프트웨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ICT나 소프트웨어 전공자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교육을 더 받고 싶지만 소프트웨어 관련학과 복수전공을 하는 것은 부담이 되는 공과대학 학생 및 비전공자에게 ICT 소프트웨어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ICT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ICT 기반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ICT 융합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CT 소프트웨어는 정보통신 기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분야로써, IoT, 차세대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 헬스케어,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지능형 로봇 등 광범위한 첨단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ICT 소프트웨어는 동국대학교에서 추구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화쟁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 분야로서 그 적용 범위를 점차 넓히면서 산업 융합을 가속화하고 있다.
ICT 소프트웨어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에 관심이 있는 공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미래 신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ICT 융합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를 배우고, 정보통신 산업에서 이러한 프로그래밍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배우며, 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반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을 통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우고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키며, ‘정보통신프로그래밍’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의 다양한 예제들을 통해 ICT 응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자료구조와실습’에서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객체지향 등 소프트웨어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학습하고,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초를 닦는다. 이러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인터넷프로그래밍’ 및 ‘모바일소프트웨어’를 통해 웹프로그래밍과 앱프로그래밍 등에 대해 배우고 모바일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ICT 소프트웨어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CT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교육과정은 ICT 및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초지식, 핵심이론, 공학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 창의력 등을 갖추도록 하며 이론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습 및 프로젝트를 통해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실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추구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ICT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할 수 있으며 책임감을 갖고 팀의 융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미래지향적이고 융합적인 리더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INC2031] 정보통신프로그래밍 ICT Programming |
|---|
| C 및 C++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통신 분야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본 강좌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의 예제를 통해 ICT 응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
| [PRI4035] 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Programming and Practices |
| 프로그래밍의 기초 개념부터 시작하여 프로그래밍 문법과 활용 능력을 키운다. 본 강좌는 입문 강좌로서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목적을 둔다. |
| [INC2027] 자료구조와실습 Data Structure and Experiments |
| C++를 기반으로 객체지향 개념에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본 강좌에서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객체지향 등 소프트웨어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학습하고,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초를 닦는다. |
| [PRI4039] 인터넷프로그래밍 Internet Programming |
| 자바스크립트, HTML, CSS3 등을 학습하고 웹프로그래밍 기술 및 홈페이지 제작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 [INC4104] 모바일소프트웨어 Mobile Software |
| 자바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앱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과 모바일 기기 제어 기법을 학습한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임민중 | 정보통신공학과 | 교수 | ICT |
|
| 정진우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소프트웨어 |
|
| 정준호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소프트웨어 |
|
| 김웅섭 | 정보통신공학과 | 부교수 | 소프트웨어 |
|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존에 ICT와 큰 상관성이 없던 산업에서도 ICT 소프트웨어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체 및 연구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 또한 ICT 소프트웨어는 제조업, 건설업, 금융업, 유통업, 농축산업, 의료산업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와 융합이 되어 그 활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비전시스템’ 마이크로디그리는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전 이론뿐만 이를 RTL로 구현할 수 있는 S/W 및 H/W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정입니다. 영상으로 표현되는 시각 정보의 취득/표현/처리 분야는 현재도 모든 산업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요소기술이며, 미래의 급격한 산업변화에도 불구하고 변함없이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과정 이수자는 인공지능 관련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인 컴퓨터비전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분야의 전문성을 갖춰 비전 관련 전문성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비전시스템”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영상,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이론을 SW 및 RTL로 구현, 개발하기 위한 역량을 증진한다.
구체적으로, 본 과정 수강생은 비전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 습득을 위하여 교과형 강좌인 “디지털영상처리” 와 “컴퓨터비전입문” 을 수강하고, 컴퓨터비전 이론을 RTL 시스템으로 구성하기 위한 교과형 강좌 “고급디지털회로설계”를 추가 수강하게 된다. 교과형 강좌 “종합설계1”에서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비전시스템을 참여기업체와 함께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몰입형 강좌인 “영상이해연구회 겨울학교”를 통하여 비전시스템 설계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하며 비전시스템 설계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정을 통하여 영상처리, 컴퓨터비전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기초/고급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SW뿐만 아니라 디지털 회로로 구현할 수 있는 RTL 설계 능력도 함께 배양함. 이를 통하여 최근 사회에서 큰 수요가 존재하는 분야인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전 지식을 갖춘 반도체 설계 전문가를 양성함. 구체적으로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디스플레이 제조 (삼성전자, 엘지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엘지디스플레이등), 자율주행(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엘지유플러스등), 로보틱스(현대자동차, ETRI등), 인공지능 반도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 AR/VR, 영상보안, 의료관련 산업체/연구소에서의 원하는 인재상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짐.
또한 본 교육과정은 학생 선호도가 매우 높은 대학원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매우 높음. 이에 영상/비디오 처리 및 인공지능 관련 대학원 진학연계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설계됨.
| [CSC4003] 디지털영상처리 / Digital Image Processing |
|---|
| 디지털 영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초적인 디지털 신호처리 이론과 영상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또한 학습한 이론과 알고리즘을 SW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배양한다. |
| [CSC4026] 컴퓨터비전입문 / Introduction to Computer Vision |
| 비전인식과 관련한 영상 특징추출 기법, 비전 기반 영상 처리 기법을 학습한다. 추가로, 비전인식에 활용되는 최신 머신러닝, 딥러닝 기법들의 이론 및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SEM2024] 디지털회로 설계 및 실습 / Digital Circuit Design and Practice |
| 디지털회로 설계의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전과 관련한 이론의 RTL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HDL 코딩을 활용하여 목표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회로로 구성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 [CSC4018] 종합설계1 |
| 영상처리, 컴퓨터비전, 디지털회로 설계 교과를 통하여 습득한 이론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해본다. 구체적으로, 산업체에서 제시한 문제를 산업체 참여인원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를 수행한다. |
| [외부교육] 영상이해연구회 겨울학교 / Winter School on Image Understanding |
| 대한전자공학회 주관으로 겨울방학 중 2박3일로 진행되는 겨울학교는 비전시스템과 관련한 특강을 수료하는 몰입형 과목으로 15시간 특강 수강으로 1학점 이수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이철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부교수 | 영상처리 |
|
| 조성인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컴퓨터비전 |
|
| 장혜령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인공지능 |
|
| 송민규 | 시스템반도체학부 | 교수 | 시스템반도체설계 |
|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디스플레이 제조, 자율주행, 로보틱스, 인공지능 반도체, AR/VR, 영상 보안, 의료 관련 분야에 진출이 가능함. 구체적으로 삼성전자 VD (Vision AI) 및 DS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 현대자동차 로보틱스 분야, LG디스플레이 AI/Big data 및 알고리즘 분야, LGU+ 융복합서비스 자율주행 분야 등에 진출이 가능함
본 ‘인공지능시스템설계’ 마이크로디그리는 AI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과정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전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AI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역할을 하게 되면서, 이를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이며, 본 과정은 이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 실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마이크로디그리는 졸업 후에도 수강생들이 자신만의 AI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확실한 기반을 마련해 줄 것입니다.
AI 기술이 주도할 미래에서도, 그 중요성은 계속될 것이며, 특히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분야는 다양한 산업에서 그 가치를 빛낼 것입니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AI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은
분들께 ‘인공지능시스템설계’ 마이크로디그리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능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로서 자율주행, 의료 영상 분석,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구조, 딥러닝입문, 디지털회로 설계 및 실습, 종합설계1 등을 수강하여, 인공지능 기술 및 시스템 설계를 위한 전문가의 역량을 배양한다.
본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필요한 기초 이론부터 실습까지 포괄적으로 교육한다. 수강생들은 컴퓨터 구조, 딥러닝, 디지털 회로 설계 등 핵심 과목을 통해 이론적 지식을
쌓고, 종합설계와 같은 실습 과목을 통해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겨울학교를 통해 최신 기술 동향과 응용 사례를 학습하여,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능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로서 자율주행, 의료 영상 분석,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CSC4013] 컴퓨터구조 / Computer Architecture |
|---|
| 디지털 영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초적인 디지털 신호처리 이론과 영상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또한 학습한 이론과 알고리즘을 SW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배양한다. |
| [CSC4023] 딥러닝입문 /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
| 본 과목에서는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과 함께, 딥러닝의 주요 알고리즘 및 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신경망의 구조, 학습 방법, 활성화 함수, 손실 함수 등의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SEM2024] 디지털회로 설계 및 실습 / Digital Circuit Design and Practice |
| 디지털회로 설계의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컴퓨터구조 및 인공지능과 관련한 이론의 RTL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GPU 코딩을 활용하여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시스템을 회로로 구성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 [CSC4018] 종합설계1 / Capstone Design I |
| 컴퓨터구조, 딥러닝입문, 디지털회로 설계 교과를 통하여 습득한 이론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해본다. 구체적으로, 산업체에서 제시한 문제를 산업체 참여인원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를 수행한다. |
| [외부교육] 패턴인식 및 기계학습 겨울학교 /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Winter School |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인 기술인 영상 처리 및 기계 학습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영상으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한다. 비영상이해연구회 겨울학교: 대한전자공학회 주관으로 겨울방학 중 2박3일로 진행되는 겨울학교는 인공지능시스템과 관련한 특강을 수료하는 몰입형 과목으로 15시간 특강 수강으로 1학점 이수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임상수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생물정보학 |
|
| 이우진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인공지능 |
|
| 석문기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조교수 | 디지털트윈 |
|
| 송민규 | 시스템반도체학부 | 교수 | 생물정보학 |
|
자율주행 차량 및 스마트 교통 시스템 개발, 의료 영상 분석 및 헬스케어 시스템 설계, 산업용 로봇 및 스마트 팩토리 설계, 지능형 반도체 및 AI 칩 설계, 영상 보안 시스템 및 얼굴 인식 시스템 개발, 패턴 인식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 분야
(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1길 30 동국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 Tel :
COPYRIGHT(C) 2021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