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디그리
Dongguk University
이 과정은 인공지능의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양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파이썬 프로그래밍으로 시작해, 인공지능 입문을 통해 AI의 개념을 배우고,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통해 실질적인 AI 기술을 다룹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실습으로 코드 작성과 협업 능력을 키우며, 자연어 처리를 통해 언어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미래의 AI 전문가로 성장할 준비를 갖출 수 있습니다.
| [SCS2013] 파이썬프로그래밍 Python Programming |
|---|
|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구조,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기본 프로그래밍 개념을 소개 |
| [SCS4033] 인공지능입문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
| 파이썬과 텐서플로우를 사용하여 기본 알고리즘들을 구현 |
| [SCS4037] 머신러닝및딥러닝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 딥러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다양한 고급 머신러닝 알고리즘들의 기반 학습 |
| [SCS2019] 오픈소스소프트웨어실습 Convergence Software Project |
| GitHub, AWS, Docker 등의 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과 도구에 대해 학습 |
| [DSC4010] 자연어처리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 신경망에 대한 필수적 지식을 습득하고 딥러닝 기법을 사용한 다양한 모델들을 사용하여 여러 NLP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황우섭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김지희 | AI소프트웨어 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 김경열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이길섭 | SW교육원 | 산학협력초빙교수 | 컴퓨터 네트워크, 분산시스템 정규명세(Formal Specification) |
|
| 김광일 | SW교육원 | 대우교수 | 인공지능, 알고리즘 |
|
이 과정은 데이터의 생명 주기 전반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데이터사이언스 개론을 통해 데이터사이언스의 기초 개념을 배우고, 데이터 랭글링으로 데이터를 준비하고 변형하는 기술을 익힙니다.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로 데이터를 해석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머신러닝과 데이터사이언스에서는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또한, 파이썬 프로그래밍과 인공지능 입문을 통해 실제 코딩과 AI의 기초를 다룹니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사이언스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습니다.
| [SCS4046] 데이터사이언스개론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
|---|
| 머신러닝, 통계적 추론 및 데이터 시각화에 대해 다루고, 또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 , 데이 터 획득, 전처리에 대해서도 소개 |
| [DSC4008] 데이터랭글링 Data Engineering |
| 데이터엔지니어링, 특히 Data Wrangling의 이 론과 구현방법에 대해 학습 |
| [DSC4009] 데이터분석및시각화 Data Visualization |
| 탐색적 데이터 분석에서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학습 |
| [SCS4049] 머신러닝과데이터사이언스 Machine Learning & Data Science |
| 머신러닝(그리고 data mining)의 원리에 대해, 특히 다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들과 실세계 응용에 대해 학습 |
| [SCS2013] 파이썬프로그래밍 Python Programming |
|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구조, 네트워크 응용 프 로그램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기본 프로그래밍 개념을 소개 |
| [SCS4033] 인공지능입문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
| 파이썬과 텐서플로우를 사용하여 기본 알고리즘들을 구현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조성균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한웅진 | SW교육원 | 산학협력초빙교수 | 디지털 영상처리 |
|
| 조성균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김경열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황우섭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김지희 | AI소프트웨어 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머신러닝을 필두로 하는 인공지능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통한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수요 증가에 비해 각각의 산업 분야에서 머신러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 는 인력 공급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만 들어진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 추어 머신러닝 이론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을 이해하고, 익히고, 활용해보고자 하는 여러분! 머신러닝 융합 인재에 도전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게 머신러닝 이론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인공지능기초수학,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인공지능개론, 머신러닝, 인공지능공개SW설계의 5개 교과 목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게 머신러닝 이론 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내 다 양한 산업분야에서 머신러닝을 바탕으로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우수 융합인재를 배출 하고자 한다.
| [CSC2009] 인공지능수학 Mathema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변경전: AIB2001 인공지능기초수학) |
|---|
| 본 교과목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수학적 토대가 되는 선형대수, 확률론 및 미적분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 벡터와 행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울기(gradient), 고유값, 특이값을 배운다. 확률변수와 확률분포로부터 조건부확률, 기대값, 우도 확률, 베이즈정 리, 정보 이론 등을 학습한다. ※ 확률과통계학, 공학선형대수학, 미적분학및연습1 (3과목) 모두 이수자는 ‘인공지능수학’ 이수 면제 |
| [EGC4040]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in Practice |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CSC4012]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변경 전 : AIC2005 인공지능개론)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소개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와 응용 분야에 대해 강의한다. 지식의 표현 및 추론, 탐색에 의한 문제 해결 방법 등을 공부하고, 전문가 시스템, 확률적 추론, 기계 학습, 신경망, 자연언어처리 등 인공지능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과 연구 등을 소개한다. |
| [CSC402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변경 전 : AIC4002 머신러닝)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 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 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 [CSC4004] 공개SW프로젝트 Open Source software Project (변경 전 : ASW4014 공개SW프로젝트)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공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과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또한, 기존의 공개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개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전과정을 경험한다. 공개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공개소스를 기반으로 팀단위 협업프로그래밍 과제를 수행하여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이를 공개한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손윤식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컴퓨터공학 |
|
| 김준태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컴퓨터공학 |
|
| 장혜령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 정진우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컴퓨터공학 |
|
| 김지희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본 ‘비쥬얼컴퓨팅’ 마이크로디그리는 영상으로부터 사람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인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영상처리 관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과정으로, 최근 인공지능 관련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인 비전 관련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엄청난 수요를 등에 업고 졸업 후 수강생의 역량을 아쉬움 없이 발휘해볼 수 있습니다.
시각 정보를 통한 정보 활용은 미래의 급격한 산업변화에도 변함없이 대부분의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것이 분명합니다. 또한, 타 분야와 비교하여, 비쥬얼컴퓨팅 분야는 습득한 이론 및 기술의 효과를 눈으로 즉시 확인해 볼 수 있어 관련 연구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비쥬얼컴퓨팅 관련 전문가로서의 뜨거운 가치에 관심이 있다면, ‘비쥬얼컴퓨팅’ 마이크로디그리를 적극 추천합니다.
“비쥬얼컴퓨팅”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영상, 비디오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이론을 SW로 구현, 개발하기 위한 역량을 증진한다.
구체적으로, 3학년에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디지털신호처리, 디지털영상처리를 통하여 신호처리와 관련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4학년에는 가상현실, 컴퓨터비전입문을 통한 고급이론을 학습하여, 시각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임의의 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비전 관련 영상·비디오처리 전문가의 역량을 배양한다.
본 과정을 통하여 그래픽스, 영상처리, 컴퓨터비전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기초/고급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SW 설계 능력도 함께 배양함. 이를 통하여 최근 사회에서 큰 수요가 존재하는 분야인 영상 신호 처리, 그래픽스, 컴퓨터비전 관련 전문가를 양성함. 구체적으로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디스플레이 제조 (삼성전자, 엘지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엘지디스플레이등), 자율주행(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엘지유플러스등), 로보틱스(현대자동차, ETRI등), AR/VR, 영상보안, 의료관련 산업체/연구소에서의 원하는 인재상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짐.
또한 본 교육과정은 학생 선호도가 매우 높은 대학원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매우 높음. 이에 영상/비디오 처리 관련 대학원 진학연계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설계됨.
| [CSC4002] 컴퓨터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
|---|
| 본 과목은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소개한다. 수강생들은 3차원 객체의 모델링 및 3차원 장면의 렌더링에 대한 기본적인 수학적 이론들과 계산 기법들을 배운다. 또한, 그래픽스 응용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표준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인 OpenGL를 이용하여,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양한 프로그래밍 실습을 진행한다. 배경 지식으로는 선형대수학과 프로그래밍 언어 (C 또는 C++)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
| [CSC4007] 디지털신호처리 Digital Signal Processing |
| 본 강좌에서 학생들은 디지털 신호의 표현방법과 디지털 시스템의 기술방법을 습득하고,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퓨리에 변환과 그 응용방법을 학습하여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이해한다. |
| [CSC4003] 디지털영상처리 Digital Image Processing |
| 본 수업에서는 디지털 영상처리의 기초 이론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다룬다. 즉, 디지털 영상의 취득, 다양한 화소 변환 기법, 히스토그램 처리, 화질 개선을 위한 공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필터링, 영상 복원, 컬러 영상처리 및 압축 등을 다룬다. |
| [CSC4025] 가상현실 Virtual Augmented Reality |
| 본 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가상현실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율사물들을 가상의 환경에서 모델링하고, 자율사물간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 하는 내용을 가르친다. 세부 주제로는 가상현실 입/출력 장치의 원리와 특징, 다양한 형태의 자율사물들을 가상환경에서 모델링하기 위한 그래픽스 모델링기술, 자율사물간의 상호작용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스 시뮬레이션 기술 등을 포함한다. |
| [CSC4026] 컴퓨터비전입문 Introduction to Computer Vision |
| 본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인 기술인 영상 처리 및 기계 학습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영상으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한다. 비전 응용의 핵심 요소 기술인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 기술 및 매칭하는 기법을 학습하며 실습 프로젝트를 통하여 컴퓨터비전 응용기법을 개발한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윤승현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컴퓨터그래픽스 |
|
| 이철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부교수 | 영상처리 |
|
| 조성인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부교수 | 컴퓨터비전 |
|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디스플레이 제조, 자율주행, 로보틱스, AR/VR, 영상 보안, 의료 관련 분야에 진출이 가능함. 구체적으로 삼성전자 VD (Vision AI) 분야, 현대자동차 로보틱스 분야, LG디스플레이 AI/Big data 및 알고리즘 분야, LGU+ 융복합서비스 자율주행 분야 등에 진출이 가능함.
안녕하십니까, 산업AI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선택한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저는 책임 교수로서 여러분이 현대의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학습하는 여정을 시작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우리의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AI 기술은 그 중심에서 수 많은 분야에서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본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통해 여러분은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여러분의 열정과 노력으로 미래의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인재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본 마이크로디그리를 운영하는 모든 교수들은 여러분의 성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며, 여러분과 함께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변화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산업AI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 기술 역량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었음. 본 과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AI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ISE4045] 머신러닝1 / Machine Learning 1 |
|---|
| 본 강의에서는 머신러닝의 다양한 개념 및 전통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하고, 파이썬 실습을 통하여 해당 알고리즘들을 직접 구현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 |
| [ISE4046] 머신러닝2 / Machine Learning 2 |
| 본 강의에서는 딥러닝의 다양한 개념 및 최신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하고, 파이썬 실습을 통하여 해당 알고리즘들을 직접 구현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 |
| [ISE4002] 생산및운영관리 |
| This course is an introduction to the concept, problems, and solutions underlying modern manufacturing systems. Emphasis is placed on the design, operation, and planning for various manufacturing systems. |
| [ISE4038] 품질공학 / Quality Engineering |
| 1. Understanding quality engineering and management 2. Topics: Definition of quality, Quality issues on industry, lifecycle of products and services, technical-economic-social approaches |
| [ISE4042] 산업AI / Industry AI |
| 산업AI를 이루는 머신러닝, 인공지능, 지능형 시스템과 같은 고도화된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제 산업 데이터에 적용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손영두 | 산업시스템공학과 | 부교수 | 기계학습/인공지능 |
|
| 전성범 | 산업시스템공학과 | 조교수 | 생산관리 |
|
| 서용윤 | 산업시스템공학과 | 부교수 | 안전공학 |
|
| 김관호 | 산업시스템공학과 | 교수 | 산업AI |
|
산업AI 마이크로디그리 교육 과정은 이수한 학생들이 다음과 같은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는 프로그래밍(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수학(공학선형대수학)+분석기법(머신러닝)+현업적용(데이터기반품질경영, 산업데이터분석) 등의 과목을 이수함으써 실제 산업현장에서 데이터사이언티스트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 을 마련하는 것이 이 과정의 목표입니다.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한 인공지능프로그래밍 및 선형대수학의 기초 지식 을 바탕으로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학습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산업 현장의 적용 방법을 접하게 됩니다.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을 위한 이론적 수업 및 실제 데이터 활용을 통하여 분석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한편 학습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의 적 적용력을 함양함으로써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 [EGC4040]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in Practice |
|---|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PRI4024] 공학선형대수학 Engineering Applications of Linear Algebra |
| 미적분학및연습Ⅰ과 미적분학및연습Ⅱ를 이수한 공학, 정보산업 전공 학생들에게 벡터 공간의 개념도입과 전공에서의 활용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 [CSC402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변경 전 : AIC4002 머신러닝)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 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지도학습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 [CSC4009]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변경 전 : AID4003 데이터기반품질경영)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념에 대한 강좌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요,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언어, SQL, 저장 및 인덱싱, 질의 처리 개요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 강좌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에 기본이 되는 강좌이다. |
| [CSC4020] 데이터베이스설계 Database Design (변경 전 : AID4013 산업데이터분석)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공부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강좌에서 공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개체 관계 모델과 개념적 모델링, 관계 모델과 정규화, 데이터베이스 설계로의 변환, 데이터베이스 재설계, 멀티유저 데이터베이스 처리, 데이터베이스 구현 언어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손윤식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
|
| 조덕빈 | 수학과 | 교수 | 수치해석 |
|
| 장혜령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 이우진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데이터사이언스 |
|
| 손영두 | 산업시스템공학과 | 교수 | 데이터사이언스 |
|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졸업 후 진로는 어느 특정 분야로 한정 지을 수 없을 만큼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기술과 지식을 포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융합 프로그래밍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술을 결합하는 능력을 기르고,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통해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배웁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실습을 통해 실제 프로젝트를 위한 역량을 쌓으며, 데이터베이스 과목으로 데이터 관리 및 설계 능력을 키웁니다. 마지막으로, 웹 프론트엔드를 통해 웹 개발의 기본과 최신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다재다능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성장할 준비를 갖출 수 있습니다.
| [SCS2021] 융합프로그래밍 |
|---|
| 자료형, 조건문, 반복문은 공통으로 다루고, Java에서는 클래스, 객체 그리고 상속 등 학습 |
| [SCS2022] 자료구조 |
| 융합 프로그래밍을 수강한 후에 배우는 과목 으로서, 주어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배열, 연결리스트, 스택, 큐 등 선형 자료구조 학습 |
| [SCS4057] 알고리즘 |
| 그리디 알고리즘, 동적계 획 알고리즘을 이용한 응용 알고리즘을 배운다. 주어진 문제들을 해결하는 자바 또는 C언 어 프로그래밍 실습에서 각종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구현 및 사용함으로써 학습 내용의 이해 |
| [SCS2019] 오픈소스소프트웨어실습 Convergence Software Project |
| GitHub, AWS, Docker 등의 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과 도구에 대해 학습 |
| [DSC4019]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기본구조, 모델 링 방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념, 스키마 작성법, 정규화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 |
| [DSC4055] 웹프론트엔드 Web Front-end |
|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해 웹 애플리 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부터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활용, 웹 보안,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주제 학습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한웅진 | SW교육원 | 산학협력초빙교수 | 디지털 영상처리 |
|
| 백세인 | SW교육원 | 외래강사 | 데이터베이스, 정보검색 |
|
| 한웅진 | SW교육원 | 산학협력초빙교수 | 디지털 영상처리 |
|
| 이길섭 | SW교육원 | 산학협력초빙교수 | 컴퓨터 네트워크, 분산시스템 정규명세(Formal Specification) |
|
| 송충건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
| 황우섭 | SW교육원 | 외래강사 |
|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는 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최소의 과목이수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교과목을 구성하였으며, 이 마이크로디그리를 수료하면 적 어도 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프로그래밍 및 선형대수학의 기초 지 식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전략, 정보 기술 및 모델링 방법을 결합한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를 학습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비즈니스 문제들을 사례로 접하게 됩니다.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을 위한 이론적 수업을 통하여 분석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한편 학습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의적 적용력을 함양함으로써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 [EGC5033] 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Data Programming |
|---|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들어 대부분의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이 필수로 요구 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엑셀의 기초 및 데이터 분석에 쓰이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인 R을 배우고 이를 활용해 데이터 분석에 대한 기초와 시각화, 공공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를 분석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능력을 키운다. |
| [PRI4024] 공학선형대수학 Engineering Applications of Linear Algebra |
| 미적분학및연습Ⅰ과 미적분학및연습Ⅱ를 이수한 공학, 정보산업 전공 학생들에게 벡터 공간의 개념도입과 전공에서의 활용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 [SCS4046] 데이터사이언스개론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변경 전 : AIC2003 데이터사이언스개론)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본 교과목은 비즈니스 전략, 정보 기술 및 모델링 방법을 결합한 데이터 과학을 소개한 다. 데이터 과학의 이점과 기회뿐만 아니라 조직, 구현 및 윤리적 문제를 검토한다. 학 생들은 모델링 방법, 분석 소프트웨어 및 정보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익히게 된다. |
| [CSC402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수업 (변경 전 : AIC4002 머신러닝) ※ 주의: 변경 전/후 교과목을 모두 수강했어도 1과목만 마이크로디그리 이수과목으로 인정함 |
|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 [CSC4008] 다변량 및 시계열데이터분석 Multivariate and Time Series Data Analysis |
| 본 강좌에서는 여러 개의 독립변수와 여러 개의 종속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법과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이론을 다룬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이우진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데이터사이언스 |
|
| 임상수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데이터사이언스 |
|
| 이영섭 | 통계학과 | 교수 | 데이터사이언스 |
|
| 조덕빈 | 수학과 | 교수 | 수치해석 |
|
| 장혜령 |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 교수 | 인공지능 |
|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4차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졸업 후 진로는 어느 특정 분야로 한정 지을 수 없을 만큼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1길 30 동국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 Tel :
COPYRIGHT(C) 2021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