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디그리
Dongguk University
* 디지털공인탐정, 사회복지상담실천, 사회적기업창업, 무역범죄예방 마이크로디그리는 미래융합대학 소속 학생만 신청 가능
** 비즈니스데이터애널리틱스와 어카운팅데이터사이언스는 중복 이수 불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화양식 중에서도 ‘역사’처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분야는 드물 것입니다.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나 드라마 등의 콘텐츠에는 언제나 ‘역사 왜곡’의 시비가 끊이질 않습니다. 또 최근에는 어느 한 독립군 영웅의 역사적 평가를 두고서 정치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치열하게 논쟁을 한 적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궁금할 겁니다. 왜 사람들은 역사에 대해서만큼은 양보 없어 생각이 다른 서로를 향해 날을 세울 수밖에 없을까. 그 이유는 오늘날 역사가 바로 ‘공공의 기억’이자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정의의 기준’이 되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현대 민주사회에서는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재현할 것인지, 또 어떻게 활용하고 소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공공역사문화학> 교육과정은 바로 이러한 사회 현상에 주목합니다. 우리의 교육과정을 통해 역사문화콘텐츠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문가를 배출하고자 합니다. 지금은 역사를 연구하는 것만큼 그것을 활용하고 소비하는 과정도 중요한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스토리텔러·창작자를 꿈꾸는 여러분. 문화비평에 관심이 있는 여러분. 문화기획자를 꿈꾸는 여러분. 역사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문화산업 분야에서 활약하기를 꿈꾸는 여러분. <공공역사문화학> 교육 과정을 통해 꿈에 한 발짝 다가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공공역사문화학> 교육과정은 ‘공공역사학’과 ‘문화학’·‘문화기획’ 전공을 융합한 과정으로서, 역사의 공공성을 이해하고 이를 문화콘텐츠에 녹여낼 수 있는 실용적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역사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본 과정의 핵심 목적이다. 이러한 교육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과정은 공공역사문화학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학술원의 문화학·문화기획 관련 이론·실습 강의와 문과대학 사학과의 실용적 이론 강의를 접목하여 다음과 같은 강의를 구성하였다. ➀공공역사문화학 입문 ➁문화가치의 체험과 창작 ➂문화연구와 문화산업 ➃지역사와 역사 아카이빙 ⑤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 이들 강의를 통해 수강자는 문화산업의 현황과 전망, 문화콘텐츠 기획 실습, 역사와 문화콘텐츠 결합의 다양한 사례와 방법론 등을 학습함으로써, 현재 부상하고 있는 역사문화콘텐츠 산업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지식을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역사문화학> 교육과정은 역사를 소재로 한 콘텐츠를 창작하고 문화기획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➀ 역사와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고, 문화산업의 최신 동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무분별하게 양산되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문화 비평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➁ 역사콘텐츠 및 문화기획의 다양한 사례 검토를 통해 각종 문화 예술 사업을 계획·설계하는 실용적 지식을 습득한다.
➂ 역사문화콘텐츠 기획 및 창작 과정을 체험, 실습함으로써 역사를 소재로 한 스토리텔링 능력과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➃ 공공역사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소비되는 역사에 대한 문화비평적 능력을 함양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무분별하게 소비되는 역사에 대한 비판적 시선과 참신한 콘텐츠 기획·창작 능력을 갖춘 문화기획자, 역사문화콘텐츠 창작자, 공공역사학 전공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 [CTM2007] 공공역사문화학 입문 |
|---|
| · ‘공공역사(Public Hisotry)’와 ‘문화(Culture)’의 학제적 융합에 대한 이론 학습을 통해 ‘공공역사문화학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마련한다. · 공공영역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역사문화콘텐츠 창출·공유를 추구하는 공공역사(public history) 문화콘텐츠 기획 과정을 실습한다. |
| [CTM2002] 문화정보와 공공역사 Culture Information and Public History |
| · 박물관 등의 역사 전시와 역사 교육으로부터 제공되는 문화정보를 이해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문화적 가치를 탐색한다. · 주어진 문화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 창출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
| [CTS4003] 문화연구와 문화산업 Cultural research and Industry |
| ·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일부를 구성하는 문화라는 요소의 본질을 탐구하고, 이를 산업적으로 바라보며 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 다양한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개념과 특성, 관련 산업의 미학적, 산업적 측면, 글로벌 트렌드를 학습한다. |
| [HIS4047] 지역사와 역사 아카이빙 Applied Method of Exhibition, Archiving Strategy |
| · 지역사의 기본 개념과 가치를 이해하고, ‘역사 아카이빙’의 기본 개념과 적용 방법을 실습한다. · 지역사의 구체적 복원 방법을 터득하고, 지역의 역사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기획한다. |
| [HIS4046]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 |
| · 디지털 역사학(Digital History)의 기초가 되는 영상 자료의 제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이를 스스로 디지털 역사 콘텐츠의 제작 과정을 체험한다. |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분야 | 교과목명 |
|---|---|---|---|---|
| 이승호 | 문화학술원 | 조교수 | 한국고대사 |
|
| 권기석 | 문화학술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조교수 | 조선사 |
|
| 임경준 | 문화학술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조교수 | 명·청시대사 |
|
| 박진일 | 국립중앙박물관 | 외래강사 | 박물관 전시 기획 |
|
| 김택경 | 사학과 | 조교수 | 중국근대사 |
|
| 최원재 | 사학과 | 외래강사 | 디지털인문학 |
|
(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1길 30 동국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 Tel :
COPYRIGHT(C) 2021 DONGGUK UNIVERSITY